고속도로 교통정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교통검지체계 수립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낙주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5:18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5:18Z | - |
dc.date.issued | 2011-08 | - |
dc.identifier.other | 11886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032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2011. 8 | - |
dc.description.abstract | 교통검지체계는 도로 상에서 교통자료를 수집하여 현 소통상태의 파악, 문제점 진단 및 혼잡영향 분석, 그리고 해결대안을 찾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정보수집체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교통검지체계는 보다 큰 틀에서 교통정책, 교통관리, 이용자서비스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역할과 기능을 정의할 수 있다. 첫째, 도로의 신설 및 확장, 간선도로망의 구성 및 연계체계 구축 등 국가발전에 있어 중요한 도로교통정책을 결정할 때, 이를 위한 현재 통행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수집 및 제공 기능을 수행한다. 둘째, 교통관리 측면에서는 기존 교통체계의 문제점을 대대적인 시설 개량에 의존하지 않고 교통운영제어를 통해 반복혼잡을 해소하고 기존 교통체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노력이다. 이를 위해서 현 소통상태의 진단과 향후 개선된 소통상태의 비교시 교통검지체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용자서비스측면에서는 현재의 정확하고 유용한 교통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 도입이후 현재까지 교통관리측면 위주의 교통검지체계가 주를 이루어왔다. 기존의 지점검지체계는 교통량, 속도, 점유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고속도로 본선의 교통상태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속도로 본선의 교통관리 목적 이외에 교통정책 및 이용자서비스 측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점검지체계에 대한 문제점 및 보완사항에 대한 진단을 통한 새로운 교통검지체계의 도입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점 및 구간 검지방식의 장점 및 기능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노력으로 정보수집 및 정보제공 정확도 측면에서 두 차례에 걸친 현장조사 및 분석,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각 검지방식별로 지점 및 구간 검지체계가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검지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수립하였고 그 결과로서 지점 및 구간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구간검지체계 설치기준은 해당구간의 교통소통 상태에 따라 혼잡구간(30km/h 미만), 도시부(30∼70km/h), 그리고 지방부(70km/h 이상)로 구분하여 혼잡구간 2.5km, 도시부 4.0km, 그리고 지방부 6.0km로 제시하였다. 한편, 지점검지체계의 설치기준으로는 혼잡구간 0.5km, 도시부 1.0km, 그리고 지방부 2.0km의 설치간격 기준을 제시하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 제시된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의 효과평가를 위해, 경부고속도로 오산IC ∼ 서울TG 구간의 실제 교통검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점 및 구간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에 대한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정보수집 시에 시공간적으로 교통 혼잡이 발생, 전파 및 해소되는 교통소통상태 파악의 측면에서는 실시간 검지가 가능한 지점검지방식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정보수집 및 제공 측면에서의 정확도는 실제 이용자의 구간통행 정보를 수집하는 구간검지체계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5 제2장 이론적 고찰 7 제1절 교통검지체계 종류 및 특징 7 1.1 지점검지체계 8 1.2 구간검지체계 9 제2절 국내외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12 2.1 국내 고속도로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및 현황 12 2.2 국외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및 현황 18 제3절 교통검지체계 기반 통행시간 산출연구 22 3.1 구간검지체계를 이용한 통행시간 산출 연구 22 3.2 구간검지체계의 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관련 연구 24 3.3 구간검지체계의 통행시간자료 운영에 관한 연구 26 3.4 VDS 와 AVI 자료융합과 가중치에 대한 연구 27 제3장 정보수집 및 제공 관련 교통검지체계 특성 고찰 29 제1절 교통정보 수집(검지) 및 제공 특성 29 제2절 정보수집 및 제공 정확도 영향 변수 고찰 33 2.1 교통류 상태의 동질성 33 2.2 교통자료 집계시간간격 34 2.3 혼잡교통류 속도 35 제4장 교통검지체계별 정확도 분석 36 제1절 검지체계별 관측 정확도 비교 분석 36 1.1 교통자료 수집 및 분석 구간 36 1.2 교통자료의 유형 40 1.3 교통자료 분석내용 43 제2절 검지체계별 정보제공 정확도 비교 분석 49 2.1 주행차량조사 개요 49 2.2 교통정보 제공 정확도 조사 결과 52 제3절 교통검지체계 보완방향 도출 57 제5장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정립 59 제1절 지점검지체계 최적 설치간격 평가 방법론 59 1.1 지점검지체계 통행시간 오차율 59 1.2 지점검지기 설치개수에 따른 통행시간오차 변화 61 1.3 지점검지기 적정 설치간격 결정 64 제2절 구간검지체계 최적 설치간격 결정 67 2.1 구간검지체계 최적 설치간격 평가 방법론 설정 67 2.2 교통상태 시나리오 설정을 통한 최적 설치간격 분석 73 2.3 최적 구간검지간격 산출방법론 일반화 86 제3절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정립 89 3.1 교통검지체계의 역할 및 기능 검토 89 3.2 지점 및 구간 교통검지체계별 설치기준 정립 94 제6장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효과평가 98 제1절 자료수집 및 효과평가 방법 98 1.1 자료수집 98 1.2 분석자료 결정 99 1.3 효과평가 방법 102 제2절 검지체계별 효과평가 분석 104 2.1 지점 및 구간 검지 설치기준별 통행속도 산출 104 2.2 지점 및 구간 검지체계별 통행속도 정확도 평가 107 2.3 지점 및 구간 검지체계별 소통상태 정확도 평가 108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11 제7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12 참고문헌 11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고속도로 교통정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교통검지체계 수립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801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86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