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인력의 이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ubtitle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Alternative Title
Youn, Dae-hum
Author(s)
연대흠
Alternative Author(s)
Youn, Dae-hum
Advisor
김흥식
Department
공공정책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1-02
Language
kor
Keyword
연구인력이직영향요인
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된 이직의도 영향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경험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인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 연구원들의 이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의 논의는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된 직무만족도를 세부요인으로 구분하여 어떤 요인이 이직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활발하게 논의되지는 않았으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직기회 및 기관 대외 인지도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근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방이전이 이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논의되고 있는 바, 공공기관 이전 변수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이직의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통해 연구모형을 정립하고, 실증분석을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기관의 지방이전 여부, 이직기회에 대한 인식, 기관의 대외 인지도에 대한 인식,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들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통계 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몇 가지 의미 있는 발견을 할 수 있었다. 첫째, 연령대별로 20대가 다른 연령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이직에 대한 의도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미혼인 경우가 기혼인 경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년수가 1~5년인 경우에 다른 집단과 비교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직급에 따라서는 일반 연구원들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근무년수는 이직의도에 대해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가설 1. 부분 수용). 둘째, 연구원들의 혼인여부, 학력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분석결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2, 3. 기각). 셋째, 연구기관 이전 여부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대상이 아닌 기관에 비해 이전 대상 기관 연구원들의 이직의도가 강해짐을 알 수 있었다(가설 4. 수용). 넷째,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들 중 직무자체 만족과 상사 만족 항목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상사에 대한 만족도 역시 부(-)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5. 부분 수용). 다섯째, 회귀분석 결과, 이직기회에 대한 인식이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직기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이직의도가 강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가설 6. 수용). 마지막으로 기관 대외 인지도가 높다고 생각할수록 이직의도는 약해질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7. 기각)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이론모형의 검증과 더불어 본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들의 이직방지 대책에 대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인력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기존의 우수인력 이직방지를 위한 정책대안을 일부 수정․보완․추가하여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소관연구기관 우수인력의 이직 방지를 위한 대안을 도출해 내었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028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Public Affairs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