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아동학대가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의 권리존중 보육 내용이 얼마나 타당하며, 매뉴얼에 제시된 권리존중 보육을 현장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br>
<br>연구문제 1. 최근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 대한 현장교사가 지각하는 내용상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br>
<br>연구문제 2. 최근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 대한 현장교사가 지각한 현장 활용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br>
<br>연구문제 3. 최근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 대한 현장교사가 지각하는 내용상의 타당도와 현장 활용도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가?
<br>
<br>연구대상은 경기도(화성, 수원, 오산, 평택, 시흥, 안산)에 소재한 다양한 유형(국공립, 직장, 법인, 민간, 부모 협동)의 보육 시설에 근무하는 유아반 교사 200명이었다.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의 내용 타당성과 현장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에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의 교사의 역할에 수록된 권리존중의 예시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br>
<br>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r>첫째,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 대한 현장교사가 지각하는 내용 타당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연령, 학력, 근무 기관, 기관 규모, 아동학대 갈등 경험의 여부, 개정된 매뉴얼의 인지 유무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r>둘째,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 대한 현장교사가 지각한 현장 활용성의 수준은 내용 타당성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보였다. 교사의 배경 변인 중 20대 연령의 교사,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00인 이상의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는 개정된 매뉴얼의 현장 활용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셋째,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 대한 현장교사가 지각하는 내용상의 타당성과 활용도 사이에는 점수 차이가 나타났으며, 내용 타당도보다 현장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견학과 같은 공공장소, 영유아 간 직접적인 갈등 상황, 가정연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현장 활용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br>
<br>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정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매뉴얼 내 권리존중 예시 내용의 타당도 인식수준에 비해 낮은 현장 활용도 수준을 올리기 위해서는 개인적 측면에서 지속적인 재교육을 실시하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기관의 측면에서 권리존중 보육을 실행할 수 있는 적극적인 환경조성과 교사를 위한 처우개선이 필요하며, 국가적 측면에서 교사 대 아동 비율을 낮추고,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매뉴얼로 재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