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의 개발 및 효과 검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정나래-
dc.date.accessioned2022-11-29T02:32:50Z-
dc.date.available2022-11-29T02:32:50Z-
dc.date.issued2021-08-
dc.identifier.other31201-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378-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21. 8-
dc.description.abstract우울 증상을 위한 수용전념치료는 심리적 유연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우울 증상 감소에 기여하고 재발방지를 돕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심리적 개입이 발전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울증상이 있는 개인들을 위해 모바일 앱 기반의 수용전념치료를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수용 및 마음챙김 기반의 모바일 앱이 우울 증상 감소에 끼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14편의 문헌에 대해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도하였으며, 그 중 10편의 문헌에 대해서는 메타 분석을 시행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수용 및 마음챙김 기반의 모바일 앱은 우울에 대해서 작은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특히 마음챙김 기반의 개입에 비해 수용전념치료적 개입을 적용한 모바일 앱이 우울 증상의 감소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연구 2에서는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를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2-1에서 우울 증상이 있는 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각각 치료집단(41명)과 통제집단(39명)에 무선 할당하였다. 치료 집단은 4주간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를 시행하였고, 통제 집단은 처치 없이 대기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 사후 및 추후 평가의 점수가 모두 비교되었다. 결과, 우울 및 불안에서 시점 및 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수용, 경직성, 탈융합, 가치, 전념, 마음챙김 등의 치료 과정 변인에서도 시점 및 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통제 집단에서는 시기에 따른 점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던 반면, 치료 집단에서는 시기에 따라 우울, 불안, 수용, 경직성, 탈융합, 가치, 전념, 마음챙김, 삶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가 우울에 끼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매개 변인은 수용과 인지적 탈융합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2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서 치료 중인 38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각각 치료집단(21명)과 통제집단(17명)에 무선 할당하였다. 치료 집단은 4주간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를 시행하였고, 통제 집단은 처치 없이 대기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가 모두 비교되었다. 사전의 종속 측정치를 공변인으로 하였으며, 사후 점수에 대한 두 집단 간 비교를 고려해 볼 때 결과적으로 통제 집단에 비해 치료 집단은 우울에서의 개선이 나타났고, 수용, 경직성, 탈융합, 가치 및 전념에서도 개선이 나타났다. 개발된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는 우울 감소 뿐만 아니라 치료 과정 변인의 개선에도 기여하며,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사된다. 또한 본 연구의 함의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우울증 4 1) 우울증의 주요 특성 및 진단기준 4 2) 우울증의 역학적 특성과 국내 현황 5 3) 우울증과 사회적, 개인적 수준의 비용 7 4) 우울증의 심리치료 8 2. 수용전념치료 11 1) 수용전념치료의 철학적 및 이론적 기반 13 2) 우울증을 위한 수용전념치료 15 2)-1. 우울을 위한 수용 전념 치료의 핵심적 기제 15 2)-2. 우울을 위한 수용 전념 치료 연구 동향 21 3. 모바일 심리치료 24 1) 모바일 헬스(mHealth) 24 2) 모바일 앱 기반 심리치료의 특성 26 3) COVID-19와 mHealth 31 4. 우울증을 위한 모바일 심리치료 32 1) 우울증상을 다루는 모바일 심리치료의 현황 32 2) 수용 기반의 모바일 심리치료 35 Ⅲ.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문제 38 1. 연구의 필요성 38 2. 연구문제 및 가설 39 Ⅳ. 연구 1. 우울을 위한 수용 및 마음챙김 기반 모바일 앱 심리치료 관련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43 1. 목적 43 2. 방법 45 1) 연구설계 45 1)-1. 문헌 선정에 대한 전반적인 기준 45 1)-2. 문헌 검색어와 포함기준, 제외기준 46 1)-3. 문헌의 질 평가 48 1)-4. 자료 분석 49 3. 결과 52 1) 문헌 선정 결과 52 2) 대상자, 프로그램 내용, 기간 등의 특성 53 3) 주요 종속측정치의 결과에 대한 기술 및 효과 크기 분석 65 3)-1. 우울 65 3)-2. 수용 66 3)-3. 마음챙김 67 3)-4. 삶의 질 68 4) 조절 효과 분석 69 5) 출판편향 71 4. 논의 71 Ⅴ. 연구 2. 우울 증상을 위한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80 연구 2-1. 우울 증상이 있는 대학생을 위한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80 1. 목적 및 개발 과정 80 1) 목적 80 2)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81 2)-1.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의 구성요소 81 2)-2. 모바일 앱 심리치료의 개발 과정 86 2)-3. 모바일 앱의 구조 93 2. 방법 94 1) 참여자 및 절차 94 1)-1. 참여자 94 1)-2. 모바일 앱 수용전념치료 집단의 수행 세부 절차 95 2) 측정도구 99 3) 분석방법 102 3. 결과 105 1) 연구 참여자의 사전 동질성 105 2)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107 2)-1. 집단과 시점의 효과 107 2)-2. 치료의 기제 분석 115 3) 프로그램 사후 평가 설문 주관식 응답 내용 분석 121 3)-1. 회기별로 개인적으로 유익했던 프로그램 내용 121 3)-2. 그 중 가장 유익했던 프로그램 내용과 이유 122 3)-3.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및 반응 내용 요약 124 4. 논의 125 연구 2-2. 우울 증상이 있는 외래 임상군을 위한 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133 1. 목적 및 개발 과정 133 2. 방법 133 1) 참여자 및 절차 133 2) 측정도구 135 3) 분석방법 137 3. 결과 138 1) 연구 참여자의 사전 동질성 138 2) 모바일 앱 기반 수용 전념 치료의 효과 139 3) 프로그램 사후 평가 설문 주관식 응답 내용 분석 143 3)-1. 회기별로 개인적으로 유익했던 프로그램 내용 143 3)-2. 그 중 가장 유익했던 프로그램 내용과 이유 144 3)-3.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및 반응 내용 요약 145 4. 논의 146 Ⅵ. 종합 논의 및 결론 154 ■ 참고문헌 16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모바일 앱 기반 수용전념치료의 개발 및 효과 검증-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effects of mobile app-based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 among college students and clinical outpatien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 Narae-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1. 8-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1227115-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31201-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1201-
dc.subject.keywordACT-
dc.subject.keyword과정 변인-
dc.subject.keyword모바일 앱 심리치료-
dc.subject.keyword모바일 헬스-
dc.subject.keyword수용전념치료-
dc.subject.keyword우울증-
dc.subject.keyword효과-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depression can improve psychological flexibility, depressive symptoms, and help prevent recurrence.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sychological intervention using mobil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mobile ap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develop for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In Study 1,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14 literature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mindfulness-based mobile apps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10 of them.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acceptance and mindfulness-based mobile apps showed small effect sizes for depression.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the app to which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was applied could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than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 It was suggested that acceptance and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in reducing depression when implemented as a mobile app. In Study 2, we developed a mobile ap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ried to test its effects. In Study 2-1, 80 college stud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41) and a control group (n=39), respectively.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mobile ap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4 weeks, the control group waited without treatment, and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pre-assessment, post-assessment, and follow-up assessment were all compared. As a result,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was shown in depression and anxiety, and treatment process variables such as acceptance, psychological rigidity, cognitive defusion, value, commitment, mindfulness and life satisfaction. That i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change in score according to time, whereas in the treatmen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epression, anxiety, acceptance, psychological rigidity, cognitive defusion, value, commitment, mindfulnes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im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cceptance and cognitive defusion were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s in the effect of mobile ap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depression. In Study 2-2, 37 outpatient 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receiving treatment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20) and a control group (n=17), respectively.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mobile ap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4 weeks, the control group waited without treatment, and the pre-assessment and post-assessment scores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As a result, when the score of the pre-assessment each dependent measures was used as a covariant, and when consider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post-assessment score, the treat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reatment group also showed improvement in acceptance, psychological flexibility, cognitive defusion, value and commitment. The developed mobile ap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can contribute not only to the reduction of depressive symptoms but also to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process measures, and is suggested as a cost-effective metho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dc.title.subtitle우울증상이 있는 대학생 및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